728x90

spearman 2

[Python] 상관 분석(산점도, 상관계수) with Python

이전 게시물에 이어서 이번에는 상관 분석을 파이썬을 통해 알아보자. 귀무가설 : 꽃잎의 길이와 꽃받침의 길이 간에는 관련성(직선의 관계)이 없다.대립가설 : 꽃잎의 길이와 꽃받침의 길이 간에는 관련성(직선의 관계)이 있다. 1. Pearson stats.pearsonr(x = iris.petal_length, y = iris.sepal_length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(0.8717537758865832, 1.0386674194497525e-47) Person 방법은 stats.pearsonr() 을 사용한다. 0.872 : 표본의 상관계수(r)0.000 : 유의확률 유의확률이 0.000 이므로 유의수준 0.05에..

[Python] 상관 분석(산점도, 상관계수) - Pearson, Spearman, Kendall

상관분석(Correlation Analysis) 상관분석은 쉽게 말하면 직선(선형)의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.상관분석에서 알아야 할 점은 [산점도], [상관계수] 이다. 상관 분석의 핵심은 Y를 예측하는 것이고 X 들에 대해 얼마나 선형 관계가 강하고 약한지 파악한다. (featuring) 예를 들어 X_1의 자료가 질적자료이고 A와 B가 있을 때는 Two sample test를 진행하여 Y와의 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고, A,B,C,D, 등의 질적자료가 있을 때는 분산분석(ANOVA)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. X와 Y라는 양적자료가 있을 때 대부분 더 중요한 양적 자료를 Y로 둔다. 분산분석에는 "일원배치 분산분석" 이라는 것이 있다. 질적인 자료 하나를 가지고 양적인 자료와 차이가 있는지 ..